반응형
영상, 비디오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동축케이블에 대해 비교해보겠습니다.
PCB, 케이블, 비디오 포맷 등의 임피던스를 항상 고려 해야 반사손실(Return Loss)이 없이 정확한 영상을 출력해 줄 수 있는데요 설계 표준에 맞도록 어떤 케이블을 사용해야 되는지 간단하게 비교해 보았습니다.
반응형
번호 | 임피던스(Ω) | 외경(mm) | 유전체 | 대역폭 | 동작온도(℃) |
RG59 | 75 | 5.5 | PE | 1Ghz | -40~85 |
RG174 | 50 | 2.794 | PE | 1Ghz | -25~85 |
RG179 | 75 | 2.54 | PTFE | 3Ghz | -55~200 |
RG316 | 50 | 2.49 | PTFE | 3Ghz | -55~200 |
- 폴리에틸렌 (PE) :
낮은 내열성, 우수한 저온 저항성, 일반적으로 -50 ℃까지의 취성 온도, 폴리에틸렌 선팽창 계수, 높은 전도도.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 (PTFE) :
PTFE는 고온에 강하며 장기 사용 온도는 200 ~ 260 도로 또한 저온에 강하고 -100도에서도 부드러움.
반응형
'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B 표면 처리 공정의 종류 - HASL, OSP, 금도금 (0) | 2023.07.20 |
---|---|
전압, 전류, 저항 옴의법칙, 간단한 설명과 예제 (0) | 2023.02.17 |
미국 전선 규격 AWG 케이블 번호 허용전류를 반드시 체크하자 (0) | 2023.02.07 |
EMI, EMS, EMC 전파 노이즈 정의 (0) | 2023.01.17 |
RS-232, RS-422, RS-485 통신 정리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