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어야 하는 두 개의 회로를 연결할 때 보통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이 때 케이블 두께에 따른 전류량을 고려하여 연결을 해야하는데요. 여기서 반드시 알아야 되는 미국 전선 규격, 우리가 많이 들어 본 AWG 규격 입니다. AWG는 미국 전선 규격(American wire gauge)의 약자이며 도체 도선의 지름과 단면적에 대한 표준 규격 체계이며, 규격의 단면적은 전류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AWG 규격이 만들어지기 전에는 전선 제조업체마다 시스템이 달라 불편을 겪었지만 AWG 규격 덕분에 표준화된 규격 체계가 마련되어 정해진 용도에 적합한 전선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 졌다고 합니다.
AWG 규격의 번호가 높아질수록 지름이 더 작은 전선을 나타내며 규격의 전선을 만들어내기까지 거친 드로잉 작업의 횟수로 AWG 번호가 정해지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AWG 30의 전선을 만들기 위해서는 AWG 0의 전선보다 더 많은 드로잉 작업을 시행해야 합니다.
철강 산업에서는 미국 전선 규격 (AWG)이 아닌 다른 규격 체계의 사용을 선호하는데 워시번 & 모엔 (Washburn & Moen, W&M) 전선 규격, US스틸(US Steel) 전선 규격, 악기용 강선 규격등을 주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AWG 번호 | 직경(Inch) | 직경(mm) | 단면적(mm²) | 저항(Ω/m) | 허용전류(A) |
4/1=0000 | 0.46 | 11.7 | 107 | 0.000161 | 280~298 |
3/0=000 | 0.41 | 10.4 | 85 | 0.000203 | 240~257 |
2/0=00 | 0.365 | 9.26 | 67.4 | 0.000256 | 223 |
1/0=0 | 0.325 | 8.25 | 53.5 | 0.000323 | 175~190 |
1 | 0.289 | 7.35 | 42.4 | 0.000407 | 165 |
2 | 0.258 | 6.54 | 33.6 | 0.000513 | 130~139 |
3 | 0.229 | 5.83 | 26.7 | 0.000647 | 125 |
4 | 0.204 | 5.19 | 21.1 | 0.000815 | 98~107 |
5 | 0.182 | 4.62 | 16.8 | 0.00103 | 94 |
6 | 0.162 | 4.11 | 13.3 | 0.0013 | 72~81 |
7 | 0.144 | 3.66 | 10.5 | 0.00163 | 70 |
8 | 0.128 | 3.26 | 8.36 | 0.00206 | 55~62 |
9 | 0.114 | 2.91 | 6.63 | 0.0026 | 55 |
10 | 0.102 | 2.59 | 5.26 | 0.00328 | 40~48 |
11 | 0.0907 | 2.3 | 4.17 | 0.00413 | 38 |
12 | 0.0808 | 2.05 | 3.31 | 0.00521 | 28~35 |
13 | 0.072 | 1.83 | 2.62 | 0.00657 | 28 |
14 | 0.0641 | 1.63 | 2.08 | 0.00829 | 18~17 |
15 | 0.0571 | 1.45 | 1.65 | 0.0104 | 19 |
16 | 0.0508 | 1.29 | 1.31 | 0.0132 | 12~19 |
17 | 0.0453 | 1.15 | 1.04 | 0.0166 | 16 |
18 | 0.0403 | 1.02 | 0.823 | 0.021 | 7~16 |
19 | 0.0359 | 0.912 | 0.653 | 0.0264 | 5.5 |
20 | 0.032 | 0.812 | 0.518 | 0.0333 | 4.5 |
21 | 0.0285 | 0.723 | 0.41 | 0.042 | 3.8 |
22 | 0.0253 | 0.644 | 0.326 | 0.053 | 3.0 |
23 | 0.0226 | 0.573 | 0.258 | 0.0668 | 2.2 |
24 | 0.0201 | 0.511 | 0.205 | 0.0842 | 0.588 |
25 | 0.0179 | 0.455 | 0.162 | 0.106 | 0.477 |
26 | 0.0159 | 0.405 | 0.129 | 0.134 | 0.378 |
27 | 0.0142 | 0.361 | 0.102 | 0.169 | 0.288 |
28 | 0.0126 | 0.321 | 0.081 | 0.213 | 0.250 |
29 | 0.0113 | 0.286 | 0.0642 | 0.268 | 0.212 |
30 | 0.01 | 0.255 | 0.0509 | 0.339 | 0.147 |
31 | 0.00893 | 0.227 | 0.0404 | 0.427 | 0.120 |
32 | 0.00795 | 0.202 | 0.032 | 0.538 | 0.093 |
33 | 0.00708 | 0.18 | 0.0254 | 0.679 | 0.075 |
34 | 0.00631 | 0.16 | 0.0201 | 0.856 | 0.060 |
35 | 0.00562 | 0.143 | 0.016 | 1.08 | 0.045 |
36 | 0.005 | 0.127 | 0.0127 | 1.36 | 0.040 |
37 | 0.00445 | 0.113 | 0.01 | 1.72 | 0.028 |
38 | 0.00397 | 0.101 | 0.00797 | 2.16 | 0.024 |
39 | 0.00353 | 0.0897 | 0.00632 | 2.73 | 0.019 |
40 | 0.00314 | 0.0799 | 0.00501 | 3.44 | 0.015 |
반응형
'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B 표면 처리 공정의 종류 - HASL, OSP, 금도금 (0) | 2023.07.20 |
---|---|
전압, 전류, 저항 옴의법칙, 간단한 설명과 예제 (0) | 2023.02.17 |
영상신호 전송 동축 케이블 비교 (RG59, RG174, RG179, RG316) (0) | 2023.02.07 |
EMI, EMS, EMC 전파 노이즈 정의 (0) | 2023.01.17 |
RS-232, RS-422, RS-485 통신 정리 (0) | 2023.01.17 |